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등기 임원과 비등기 임원의 차이와 실무적 의미

등기 임원과 비등기 임원의 차이와 실무적 의미기업에서 임원은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과 경영을 책임지는 핵심 인력이다. 하지만 임원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법적 지위와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임원은 크게 등기 임원과 비등기 임원으로 나뉘며, 이 둘은 법적 권한, 책임, 선임 절차, 임기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실제 사례와 도표를 활용해 두 임원의 차이와 실무적 의미를 쉽게 설명한다.등기 임원이란?등기 임원은 주주총회에서 선임되어 법인등기부등본에 등재된 임원을 말한다. 주로 대표이사, 이사, 감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등기 임원은 법적으로 인정받는 공식 임원으로, 회사의 이사회에 참석해 의결권을 행사하며, 회사의 주요 경영 사항을 결정한다.법적 지위: 상법상 이사, 감사로 인정선임 방법: 주주총회 결..

카테고리 없음 2025. 7. 10. 15:17
중소기업 명의신탁주식 실소유자 확인제도, 완벽 해설

중소기업 명의신탁주식 실소유자 확인제도, 완벽 해설중소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과거 법인 설립 당시 어쩔 수 없이 가족, 친인척, 지인 등의 명의로 주식을 등재했던 명의신탁(차명주식) 문제가 여전히 골칫거리다. 특히 2001년 7월 23일 이전에는 상법상 발기인 요건(최소 3명, 1996년 9월 30일 이전엔 7명) 때문에 실제 투자자가 아닌 사람 명의로 주주를 등재해야만 법인 설립이 가능했다. 시간이 흘러 명의신탁 주식을 실제 소유자에게 돌려주려 해도, 증빙이 부족해 세무상 불이익이나 과도한 세금 부담, 가업승계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이런 현실을 반영해 국세청은 **‘명의신탁주식 실제소유자 확인제도’**를 2014년 6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복잡한 세무조사나 소송 없이, 일정 요건을 ..

카테고리 없음 2025. 7. 9. 12:26
미처분 이익잉여금 처리 방법 알아보기

미처분 이익잉여금 처리 방법 알아보기기업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자본 항목에 ‘미처분 이익잉여금’이란 숫자가 눈에 띈다.이 항목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배당이나 기타 용도로 쓰이지 않고 회사 내부에 유보된 금액이다.장부에는 잡히지만 실제 현금이 아닐 수도 있어 ‘숫자상의 돈’으로 불리기도 한다.과도하게 쌓인 미처분 이익잉여금은 비상장 주식 가치를 끌어올려 양도·상속·증여 때 막대한 세금 폭탄을 유발한다.법인을 청산하거나 매각할 때도 잔여 금액을 배당으로 간주해 평균 30% 안팎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다.따라서 적정 수준에서 관리·처리하는 전략이 필수다.1. 처리 로드맵기업 현황 진단– 실질 영업이익인지, 회계상 가공이익인지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진다.– 현금 유무·세무 리스크·주주 구조를 먼저 점검해..

카테고리 없음 2025. 7. 3. 09:31
이전 1 2 3 4 5 ··· 1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